KT전국민주동지회
인간다운 KT를 만드는 사람들
검색
검색
로그인
소식지/성명서
현장의 목소리
사진/동영상
언론
소개
이름
비밀번호
비주얼
텍스트
쇼를 하는 가입자가 1000만명을 돌파했다. <BR><BR>KT는 2007년 3월 3세대(3G) 이동통신 서비스 브랜드 `쇼`를 발표한 이래 2년4개월 만에 쇼 가입자 1000만명을 돌파했다고 6일 밝혔다. <BR><BR>KT는 쇼 1000만명 돌파를 기념해 기아자동차와 함께 1년간 고객이 직접 디자인한 쏘울을 무상으로 임대해주는 이벤트를 진행하기로 했다. <BR><BR>KT는 쇼를 발표한 이후 3G에 모든 것을 걸었다고 할 정도로 쇼 마케팅에 열을 올렸다. `쇼를 하라`는 파격적인 광고와 함께 통신 대리점 간판도 쇼로 교체하는 등 쇼 마케팅에 주력했다. 그 결과 영상통화 등이 가능한 3세대 서비스는 `쇼`로 통했다. 심지어는 SK텔레콤 가입자도 휴대폰을 구매할 때 SK텔레콤 대리점에서 `쇼`가 되는지를 문의하는 해프닝이 벌어질 정도로 쇼는 3G 서비스의 대명사로 자리잡았다. <BR><BR>KT 측 쇼 마케팅이 탄력을 받으면서 당초 3G 서비스에 미온적인 반응을 보이던 SK텔레콤도 3G 경쟁에 나서는 등 국내 이동통신 서비스를 2G에서 3G로 전환하는 데 일등공신이 됐다. <BR><BR>하지만 영상통화 외에 이렇다 할 차별된 서비스를 내놓지 못하면서 쇼는 단순히 마케팅 구호에 그쳤다는 지적도 높다. <BR><BR>KT는 한동안 SK텔레콤에 비해 3G 가입자에서 우위에 있었으나 SK텔레콤과 본격적인 마케팅 대결 구도가 벌어지면서 격차가 좁아져 올해 1월에는 결국 가입자 수에서 역전을 당했다. 가입자 1000만명 달성도 SK텔레콤이 한 달 빨랐다. <BR><BR>이동통신시장이 보조금 경쟁으로 혼탁해지면서 쇼만이 차별화한 서비스를 선보이지 못하고 SK텔레콤에 우위를 빼앗겼다는 것이다. <BR><BR>KT 관계자는 "쇼는 한국 이동통신시장을 음성통화 중심인 2G 서비스에서 데이터 통화 중심인 3G 서비스로 전환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"며 "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차별된 단말기와 서비스를 내세워 반격에 나설 것"이라고 말했다. <BR><BR>
링크 삽입/편집
닫기
대상 URL을 입력하세요
URL
링크 텍스트
새 탭에서 링크 열기
또는 기존의 컨텐츠에 링크하기
검색
지정된 검색어를 찾을 수 없습니다. 최근의 아이템을 보여줍니다.
아이템을 선택하려면 검색이나 상하 방향키를 사용하세요.
취소